
(서울=뉴스1) 김현철 기자 = 구직자 10명 중 7명이 채용 기업 정보를 찾기가 힘들다고 답했다.
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은 구직자 1362명을 대상으로 ‘기업정보 파악 및 평판조회’에 대해 조사한 결과 70.9%는 구직활동을 하면서 기업 정보를 찾기가 너무 어렵다고 응답했다고 23일 밝혔다.
불충분한 기업 정보로 인해 입사지원을 포기한 경험도 62.6%나 됐다. 포기한 이유는 ‘입사 후를 예측할 수 없어서’(61%, 복수응답)가 가장 많았다. ‘회사의 성장가능성을 파악할 수 없어서’(33.7%), ‘생소한 기업 및 산업군이라서’(28.2%), ‘우량기업인지 구별할 수가 없어 불안해서’(26.5%), ‘자기소개서 등을 어떻게 작성해야 할지 파악할 수 없어서’(23.6%) 등도 뒤를 이었다.
구직자 58%는 ‘채용을 진행하는 기업이 제공하는 정보가 불충분하다’고 느끼고 있었다. 충분한 정보 제공이 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‘근무조건, 실제 맡을 직무 등이 명확하게 기재되지 않아서’(67%, 복수응답)가 가장 많았다. 이어 ‘입사 결정에 영향이 큰 연봉 등의 정보는 안 알려줘서’(50.4%), ‘실제 근무 환경과 관련된 정보가 없어서’(47.3%), ‘원하는 업무 역량이 구체적이지 않아서’(39.7%), ‘회사에 대한 기본 정보도 제공하지 않아서’(30.5%) 등이다.
실제 ‘상세한 기업정보의 제공으로 기업의 규모에 관계없이 입사지원을 했다’는 구직자는 65.5%로 채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.
구직자들은 채용 기업의 전현직자들이 제공하는 평판을 별도로 찾아보고 있었다. 응답자의 74.3%는 ‘기업 평판을 찾아본다’고 했으며 대부분은 ‘회사가 제공한 정보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’(55.5%, 복수응답)서를 1위로 꼽았다. 그 외 ‘모두 신뢰하지는 않지만 분위기를 살피기 위해’(43.8%), ‘업계 분위기를 파악하기 위해’(40%) 등 기업 평판은 참고용으로만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구직자들은 입사지원시 필수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기업정보로 ‘연봉 수준’(64.2%, 복수응답)을 첫 번째로 꼽았다. 다음으로 ‘복리후생 등의 근무환경’(60.2%), ‘채용 직무별 필요 역량’(56.8%), ‘업종, 기업형태, 사원 수 등 기본정보’(55.9%), ‘매출액, 영업이익 등의 재무정보’(28.9%) 등 순이다.
사람인은 구직자의 정보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‘기업연구소’ 카테고리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. 근무환경, 성장성 등을 현직자 리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이직연구소와 빅데이터 분석으로 기업형태, 업종별 연봉을 확인 할 수 있는 연봉연구소, 강소 기업 큐레이션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기업 큐레이션 등의 서비스를 제공중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