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ncs뉴스 서성인 기자
2021년 새해 정부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"청년·여성 등 고용충격 집중계층의 노동시장 진입·복귀를 위해 1분기 중 대책을 추가 마련하겠다"고 밝혔다.
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9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모두발언을 펴면서 이같이 말했다.
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는 전년대비 21만8000명 감소하면서 1998년 외환위기 이래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.
이와 관련해 홍 부총리는 "청년과 여성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적극 실행하고 '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', '포스트 코로나 시대 여성 일자리 확대 방안'을 마련할 것"이라고 밝혔다.
홍 부총리는 "또한 단기 고용충격 완화를 위해 고용충격이 가장 클 1분기에 공공부문이 버팀목 역할을 하도록 올해 계획된 직접 일자리사업의 80%(83만명), 사회서비스 일자리 44%(2.8만명)를 집중 채용할 것"이라고 말했다.
이어 "공공기관도 올해 채용인원의 45% 이상을 상반기 채용하고, 2021년 2.2만명 인턴 채용절차도 1월중 신속 개시하겠다"고 강조했다.
고용유지지원금을 포함한 일자리 예산 역시 빠르게 집행한다. 홍 부총리는 "올해 일자리 예산 중 집행관리 대상 예산의 38%(5.1조원)를 1분기 조기 집행하겠다"고 설명했다.
이밖에 정부는 오는 3월 종료 예정인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연장을 검토할 예정이다.
정부는 벤처기업 창업 활성화에 고용대책의 방점을 찍었다. 홍 부총리는 "벤처기업은 지난 2019년 신규 고용창출 측면에서 4대 대기업의 약 5배 이상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등 고용창출의 핵심 축으로 성장했다"며 "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벤처창업 활성화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"고 덧붙였다.